농업박물관
2021.01.06
꽃봉오리 솎기
summary
꽃봉오리 솎기 착과수를 조절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개화 전에 약 한 달 간 실시한다....
조회수
61
농업박물관
2021.01.06
열매솎기
summary
열매솎기 결실량을 조절하는 마무리 단계로 생리적 낙과가 끝나는 7월 상순쯤 실시한다...
조회수
61
농업박물관
2021.01.04
전시를 열며
summary
누구나 감나무에 얽힌 추억 하나쯤은 가지고 있을 겁니다. 어른들 눈을 피해 꼬챙이에 ...
조회수
416
농업박물관
2021.01.04
감은 변비를 일으킨다?
summary
감을 과다섭취 할 경우, 떫은맛을 내는 ‘타닌’ 성분 때문에 변비를 일으킨다는 오해가 ...
조회수
52
농업박물관
2021.01.04
감의 영양성분 및 효능
summary
감의 학명은 Dios신 Pyros선물 Kaki감 Thunb.이다. 한마디로 감은 ‘신이 인간에게 선물...
조회수
54
농업박물관
2021.01.04
감의 활용
summary
감나무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다. 꽃부터 열매까지 버릴 것이 없다. 떨떠름하면서 달착...
조회수
51
농업박물관
2021.01.04
감 수확과 생산
summary
감 수확은 일반적으로 10월 중순부터 시작된다. 떫은 감의 경우, 과실이 단단한 적숙기...
조회수
73
농업박물관
2021.01.04
감물염색 과정 및 방법
summary
감물들이기 적당한 때는 음력 6~7월이다. 그중에서도 칠월칠석 즈음이 감 속 타닌tanni...
조회수
133
농업박물관
2021.01.04
풋감과 물들이기
summary
제주에서는 음력 6~7월이 되면, 토종 풋감을 빻아 즙을 내서 염료로 사용했다. 주로 무...
조회수
175
농업박물관
2021.01.04
감과 감나무
summary
“감나무는 추운 것을 싫어하니 매서운 바람을 피해 양지바른 곳에 심어야 한다. 또한 ...
조회수
81
농업박물관
2021.01.04
단감과 떫은 감
summary
우리나라 식용감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단맛이 나는 ‘단감’과 단맛과 떫은맛이 동...
조회수
81
농업박물관
2021.01.04
감과 감나무
summary
감나무는 한자로 시수枾樹이다. 겨울에 잎이 다 떨어지고 봄에 새잎이 나는 낙엽교목落...
조회수
53
농업박물관
2021.01.04
약용으로서의 감
summary
감은 약재로서도 매우 유용한 과실이다. 뇌졸중이나 고혈압을 치료하고 몸에 쌓인 열독...
조회수
84
농업박물관
2021.01.04
감의 용도
summary
식용으로서의 감 하 낭중이 보내온 곶감에 사례하다 전에는 꾸러미에 싼 붉은 미음[홍...
조회수
80
농업박물관
2021.01.04
감의 명칭
summary
감이 언제부터 ‘감’이라 불렸는지는 확실치 않다.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
조회수
83
윤나영
2020.12.23
망상공장2
summary
망상공장2, 윤나영, 2020, 148mm*210mm 44페이지, 폴드 북
조회수
38
윤나영
2020.12.23
망상공장1
summary
망상공장1, 윤나영, 2020, 148mm*210mm 32페이지, 폴드 북
조회수
58
윤나영
2020.12.11
망상공장2
summary
망상공장2, 윤나영, 2020, 148mm*210mm 44페이지, 폴드 북
조회수
189
윤나영
2020.12.11
망상공장1
summary
망상공장1, 윤나영, 2020, 148mm*210mm 32페이지, 폴드 북
조회수
200
여주세종문화재단
2020.11.23
금상_은하수가 펼쳐진 고달사지1
summary
<금상> 성명 : 이상일 작품명 : 은하수가 펼쳐진 고달사지1 촬영시기 : 2019년 작품 내...
조회수
8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